본문 바로가기
책 이야기-결정적 인용

우리 동네 풀꽃 이야기 - 가볍게 시작하는 꽃과의 만남

by 노지재배 2016. 3. 1.
반응형

 

이광희가 들려주는 우리 동네 풀꽃 이야기 - 나무와 숲

 


숲해설가로 충북숲해설가협회 사무국장을 지내기도 했던 이광희 충북도의원이 쓴 책이다.

책에는 저자가 도청까지 출근하며 보았던 풀꽃들이 담겼다. 책은 SNS를 이용해 저자가 지인들과 꽃의 개화와 열매 맺기, 번식 과정 등에 관한 사진과 이야기를 나누는 내용이다.

프로 사진작가나 생태학자가 아닌 실제 생활인이 직접 찍고 설명을 한다는 점에서 여느 식물 관련 책과는 다른 독특함이 있다. 더구나 매일 출근길에 마주칠 만한 친근하고 어디서나 쉽게 볼 수 있는 풀꽃과 나무들을 계절별로 다루고 있어 주변 식물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사람들의 풀꽃 입문서로 손색이 없어 보인다.

저자가 일 년 넘게 관찰한 풀꽃으로 채워진 책 속에는 240종가량의 풀꽃과 나무가 소개돼 있다.

중간중간 제시기를 지난 자리에 들어간 풀꽃이나 나무도 있지만, 대부분 시기별로 정리돼 있어 어느 철에 어떤 꽃이 피는지 살피기도 좋다. 그런 의미에서 참고삼아 아래 목차를 함께 실었다.

 

■목차

추천의 글 _ 도종환
들어가는 글

Spring

3월 첫째 주, 봄이 옵니다
앉은부채 | 개암나무 | 큰개불알풀(봄까치꽃)

3월 둘째 주, 봄꽃들의 이야기
양지꽃 | 생강나무 | 미선나무 | 둥근털제비꽃

3월 셋째 주, 봄나물 캐러 가는 계절
복수초 | 갯버들 | 광대나물 | 매화 | 산수유 | 그늘사초

4월 첫째 주, 생명의 잔치가 시작되다
별꽃 | 올괴불나무 | 꽃다지 | 냉이 | 쇠뜨기 | 민들레

4월 둘째 주, 봄꽃들의 축제
앵두나무 | 명자나무 | 동백꽃 | 목련 | 개나리 | 진달래 | 벚나무

4월 셋째 주, 연둣빛 세상입니다
잔털제비꽃 | 조팝나무 | 층층나무 | 개별꽃 | 할미꽃 | 돌단풍 | 산괴불주머니 | 지면패랭이(꽃잔디) | 괭이눈 | 현호색 | 생강나무

4월 넷째 주, 봄나들이 계절입니다
영산홍 | 황매화 | 앵초 | 매발톱 | 으름덩굴 | 애기똥풀

5월 첫째 주, 풀꽃들의 향연
산철쭉 | 봄맞이꽃 | 귀룽나무 | 수수꽃다리 | 배꽃 | 복숭아 | 솜나물 | 까마귀밥여름나무

5월 둘째 주, 연두에서 초록으로
애기사과 | 유럽점나도나물 | 뜰보리수 | 화살나무 | 돌배나무 | 졸참나무 | 황새냉이 | 당매자나무와 홍매자나무 | 박태기나무

5월 셋째 주, 꽃들의 도시 점령
미나리아재비 | 씀바귀 | 가침박달나무 | 붉은토끼풀 | 토끼풀 | 병아리꽃나무 | 금낭화 | 둥굴레 | 창질경이 | 칠엽수 | 주름잎 | 유채 | 붓꽃

5월 넷째 주, 여름은 흰색으로 시작된다
불두화 | 고광나무 | 산사나무 | 목백합나무 | 아까시나무 | 층층나무 | 붉은병꽃나무 | 블루베리 | 뽀리뱅이 | 살갈퀴

5월 다섯째 주, 초여름으로 들어서다
금계국 | 국수나무 | 제비꽃 씨앗 | 꿀풀 | 노란꽃창포 | 지칭개 | 때죽나무 | 찔레꽃 | 장미 | 오동나무 | 산딸나무 | 감자꽃


Summer

6월 첫째 주, 원예종 특집
꽃양귀비 | 수레국화 | 페튜니아 | 피라칸사스 | 삼색제비꽃 | 붉은인동 | 꽃파 | 프렌치 라벤더 | 끈끈이대나물 | 한련화 | 물망초 | 자주달개비

6월 둘째 주, 참나무 세상입니다
상수리나무 | 인동 | 쥐똥나무 | 독미나리 | 기린초 | 수련 | 만첩빈도리 | 소리쟁이 | 돌나물꽃 | 족제비싸리 | 개옻나무 | 메꽃 | 개망초 | 섬초롱꽃
 
6월 셋째 주, 장마를 대비하다
밤나무 | 박쥐나무 | 비비추 | 루드베키아 | 용머리 | 멍석딸기 | 개오동나무 | 땅비싸리

6월 넷째 주, 색을 다투다
갈퀴나물 | 도둑놈의 지팡이 | 백일홍 | 엉겅퀴 | 노각나무 | 까치수영 | 봉숭아 | 낭아초 | 자귀나무 | 남천

7월 첫째 주, 계곡이 부른다
접시꽃 | 노루오줌 | 왕원추리 | 우산나물 | 모감주나무 | 곰취 | 쑥갓

7월 둘째 주, 하늘을 다투다
타래난초 | 사상자 | 도라지 | 쉬땅나무 | 산수국 | 사철나무

7월 셋째 주, 긴 장마, 습기 가득한 숲
범부채 | 댕강나무 | 냉초 | 왜당귀 | 톱풀 | 해란초 | 피나무

7월 넷째 주, 가을 풀꽃들이 고개를 들다
산초나무 | 에키네시아 | 등골나물 | 물양지꽃 | 누리장나무 | 칸나 | 해바라기

8월 첫째 주, 짙푸른 녹음의 계절
애기달맞이꽃 | 땅나리 | 짚신나물 | 버찌 | 물레나물 | 패랭이 | 부처꽃 | 참깨 | 맥문동 | 채송화

8월 둘째 주, 여름 국화가 한창입니다
호박꽃 | 층층잔대 | 금불초 | 무릇 | 노랑어리연 | 으아리 | 능소화

8월 셋째 주, 서어나무 세상입니다
배롱나무 | 사위질빵 | 꼬리조팝 | 칡꽃

8월 넷째 주, 씨앗이 영글어 가다
나팔꽃 | 꽃범의꼬리 | 며느리밑씻개 | 붉노랑상사화 | 풍접초 | 익모초 | 좀작살나무


Autumn

9월 첫째 주, 여름과 가을의 동거
이질풀 | 유홍초 | 금강아지풀 | 왕고들빼기 | 물봉선 | 수크령 | 설악초

9월 둘째 주, 가을 길목을 지키는 풀꽃들
달맞이꽃 | 고마리 | 참취 | 닭의장풀 | 매듭풀 | 가우라

9월 셋째 주, 참나무의 나라를 꿈꾸며
까마중 | 메밀꽃 | 솔새와 개솔새 | 뚝갈

9월 넷째 주, 열매가 익어 가는 계절
개쑥부쟁이 | 들깨 | 쑥 | 맨드라미 | 페퍼민트 박하 | 눈괴불주머니 | 환삼덩굴

10월 첫째 주, 들녘이 황금빛으로 물들다
층꽃나무 | 개여뀌 | 주름조개풀 | 산박하 | 미국쑥부쟁이 | 만수국

10월 둘째 주, 단풍이 물드는 계절
쑥부쟁이 | 까실쑥부쟁이 | 고려엉겅퀴(곤드레) | 꽃향유 | 뚱딴지

10월 셋째 주, 마지막 풀꽃들의 축제
구절초 | 과꽃 | 산부추 | 솔이끼 | 새 | 조

10월 넷째 주, 꽃보다 아름다운 나무들
쥐꼬리망초 | 며느리밥풀 | 산국 | 용담 | 미국가막사리 | 주목

11월 첫째 주, 겨우살이 준비를 시작하다
개량종 국화 | 김장 무 | 이고들빼기 | 억새


Winter

겨울 이야기
산길 | 눈길 | 굴참나무와 소나무 | 아린 | 차장에 비친 나무 | 괴산의 저녁

-----------------------------------------

직업적인 전문가가 아닌 저자가 쓴 책으로 SNS에 올렸던 꽃 소식 등을 편집한 책이다 보니 전문적인 내용이 조금 떨어지는 단점은 어쩔 수 없었다.

일종의 '카더라' 식의 설명이나 '아마 그렇지 싶다' 풍의 미진한 내용이 군데군데 보이는 점은 그런 의미의 아쉬움일 수밖에 없다.

특히, 일본말 잔재로 우리말 이름을 빼앗긴 풀꽃들에 대해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부분도 있어 아쉬움을 더했다.

이제는 많이 알려진 예이지만, 책 중에 소개된 며느리밑씻개는 마마코노시리누구이(繼子の尻拭い)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마마코노시리누구이는 '의붓자식의 밑씻개'라는 뜻으로, 우리말로 번역하면서 '의붓자식'이 '며느리'로 바뀌었다. 이 때문에 멀쩡한 '사광이아재비'라는 이름을 두고 며느리밑씻개라는 이름을 달게 됐다. 며느리밑씻개의 원래 이름인 사광이아재비는 살쾡이가 먹는 풀 혹은 살쾡이를 닮은 풀이라는 뜻이다.

이를 두고 며느리가 미워서 뒤처리에 뾰족한 가시덩굴과 역시 가시 돋친 잎사귀를 지닌 며느리밑씻개를 사용하라고 했다는 등의 재미있는 옛날이야기도 전해지지만, 엄연히 우리 조상들은 이 풀을 며느리밑씻개용으로 사용한 사실은 없었던 것 같다.

사광이풀인 며느리배꼽도 며느리밑씻개와 마찬가지의 경로를 겪어 일본식 이름으로 개명된 풀꽃이다.

이러한 내용은 인물과사상사에서 이윤옥 시인이 펴낸 <창씨개명된 우리 풀꽃>이라는 책에 자세히 전한다.

며느리밑씻개나 며느리배꼽 등의 사례는 인터넷을 통해 꽃을 공부하다 알게 된 내용이지만, <창씨개명된 우리 풀꽃>을 하루빨리 읽어야 할 것 같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