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뉴스가 틀린 띄어쓰기3 [절래절래/절레절레] 뉴스가 틀린 맞춤법(25) = 고개를 '절래절래' 흔들까요, '절레절레' 흔들까요 '뉴스가 틀린 맞춤법' 스물다섯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절래절래/절레절레'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항상 그랬듯이 오늘도 뉴스 기사 두 개로 시작하겠습니다. 굵은 글씨에 유의해서 맞춤법이 틀린 기사를 찾아주세요. 자, 아래 두 기사 중 맞춤법이 틀린 기사는 무엇일까요? ------------------------------------------------------------- 네, 답은 두 번째 기사에 나오는 '절레절레'입니다. '절레절레'는 흔히 무언가를 부정하거나, 황당함을 나타내는 의사표시로 고개를 좌우로 흔들 때 이를 묘사하는 부사로 자주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그런데 일상생활이나 뉴스 등에서 이를 '절래절래'로 잘못 사용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절레절레'의 작은 말인 '잘래잘.. 2017. 11. 10. [사단 나다/사달 나다] 뉴스가 틀린 맞춤법(24)='사단 나다/사달 나다' 사단은 내지 마세요 '뉴스가 틀린 맞춤법' 스물네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사단 나다/사달 나다'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항상 그랬듯이 '사단 나다'와 '사달 나다'가 쓰인 뉴스 기사 두 개로 시작하겠습니다. 굵은 글씨에 유의해서 맞춤법이 틀린 기사를 찾아주세요. 자, 아래 두 기사 중 맞춤법이 틀린 기사는 무엇일까요? ------------------------------------------------------------- 네, 답은 두 번째 기사에 나오는 '사단 나다'입니다. 흔히 예상치 못한 일이 생겼을 때 흔히 '사단이 나다'라는 표현을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때의 '사단'은 '사달'을 써야 할 곳에 잘못 들어간 말입니다. 사전을 찾아보면 '사단(事端)'은 '일이나 사건을 풀어나갈 수 있는 첫머리'라는.. 2017. 8. 23. [더더욱/더 더욱][더욱더/더욱 더] 뉴스가 틀린 맞춤법(22)='더욱'을 강조하는 부사들 '뉴스가 틀린 맞춤법' 스물두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더욱더/더욱 더'와 '더더욱/더 더욱'의 쓰임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이 둘은 모두 부사인 '더욱'을 강조하는 말들로, 역시 품사는 부사입니다. 자, 그럼 구체적으로 알아볼까요. 오늘도 기사 두 개로 시작하겠습니다. 맞춤법이 올바른 기사와 틀린 기사를 구분해 주세요. 굵은 글씨 부분에 유의해서 봐주세요. ----------------------------------------------------------------------- 위의 두 개의 기사 중에 맞춤법에 올바르게 작성된 기사는 무엇일까요? 예, 두 번째 기사의 '더욱더'가 맞는 표현입니다. 당연히 첫 번째 '더욱 더'는 틀렸고요. '더욱'을 강조하는 부사인 '더욱더'는 이렇게 붙여.. 2017. 7.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