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평등2

[사회][사회학][계급] 《병목사회》 계급과 계층을 넘어 평등을 꿈꾸며 오늘 소개하는 책은 《병목사회》다. 부제로는 〈기회의 불평등을 넘어서기 위한 새로운 대안〉을 달고 있다. 책 자체는 마치 한 편의 논문을 읽듯 수많은 주석이 달려 있다. 저자가 로스쿨 대학 교수인 데다 차별 금지법이나 고용, 투표권 등 다양한 영역의 기회균등에 관해 가르치고 글을 쓰고 있는 사람이라니 당연한 얘기일 수도 있다. 너무 많은 양과 학술적인 주석 때문에 아래 '책 속으로'의 발췌 부분에서는 주석 내용들은 모두 뺄 수밖에 없었다. 책 자체가 논문처럼 쓰였지만, 찬찬히 읽어 보면 그리 어렵지는 않다. 전공자들이 아니라면 학술적인 내용을 비롯해 책의 모든 이야기를 완벽하게 이해하기는 어렵겠지만, 사회의 기회균등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저자의 기본 주장은 책을 통해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기 때.. 2020. 4. 23.
[소득 재분배][지니계수][빈곤율] 소득 불평등 심화, 소득 분배 지표는? 지난해 우리나라의 소득 불평등 척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모두 뒷걸음질 쳤다는 소식입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소득분배지표를 보면 2016년 우리나라의 지니계수와 소득 5분위 배율, 상대적 빈곤율이 모두 악화됐습니다. 이 수치들은 한 나라나 국가 간의 소득 분배 현황을 나타낼 때 쓰이는 지표들입니다. 그런데 이 지표들이 모두 악화됐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 사회의 소득 재분배가 불평등하게 이뤄지고, 일부 기득권층에 경제성장의 열매가 집중되고 있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죠. 그동안 선 성장 후 분배의 목소리에 눌렸던 국민들의 분노가 저성장 시대에 더욱 확대되고 있는 소득 불평등에 더욱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흔히 GDP(국내총생산) 몇 만 달러 진입, GDP 몇 만 달러 시대 등을 부르짖지만 제대로 된.. 2017. 5.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