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동양철학2 [계몽편][동몽선습] 한자, 제대로 배우자 - 처음 읽는 한문 한글은 창제자와 창제 원리를 알 수 있고 누구나 배우기 쉬운 과학적인 글자다. 그러나 세종대왕께서 이처럼 과학적인 글자인 한글을 창제하시기 전까지 우리는 한자를 사용해 문자생활을 해 왔다. 그리고 문자에 대한 접근 권한과 능력이 곧 권력과 연결된다는 점을 알고 있던 사대부들의 방해로 한글은 창제 이후에도 오랜 기간 동안 천시를 받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말 어휘 가운데 70% 이상은 한자어를 기반으로 하게 됐고, 여전히 우리말을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한자를 이해하고 사용할 줄 알아야 하는 번거로움도 생겨났다. 사실 지금의 한글세대들은 쉽게 배우고 쓸 수 있는 한글만으로 문자생활이 가능하고, 어려운 한자와 한문 교육 때문에 낭비되는 교육비와 시간을 절약한 세대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 편으로.. 2017. 3. 24. [노자][도덕경] 동양 최고의 고전 1 노자 도덕경은 노자가 지은 책의 이름으로, 중국 역사를 떠받치는 유가와 도가의 두 기둥 중 도가 사상의 큰 원류를 이루는 책이다. 노자의 도덕경에 흐르고 있는 무위자연(無爲自然)은 인위(人爲)를 배제하고 스스로 그러한 자연의 이치를 거스르지 않아야 한다는 지혜를 담고 있다. 도와 덕, 무위, 자연, 상선약수, 이런 단어나 구절들은 노자의 도덕경에서 나와 일반에 많이 회자되는 것들이다. 미거한 사람의 백 마디 말보다도 노자의 가르침을 담은 도덕경 구절 중 우리가 평소 들어봤을 법한 구절과 노자의 사상을 잘 표현한 구절을 아래쪽에 모아놨으니 참고하시기 바란다. 그래도 기왕 포스팅을 했으니 노자 도덕경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도 다뤄보자. 도덕경은 본래 도에 관한 글과 덕에 관한 글을 합친 것인데 오래된 고전이다.. 2017. 3. 2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