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이시옷2

뉴스가 틀린 맞춤법(42)='MBC'가 틀린 사이시옷 '안개속/안갯속'의 용법 '뉴스가 틀린 맞춤법' 마흔두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제가 MBC 뉴스에서 틀린 사이시옷 맞춤법 사례를 가져왔습니다. 문제가 되는 캡처 사진 위에는 카카오톡 이모티콘으로 표시를 해 놓았으니 주의해서 살펴보시면 됩니다. 오늘 가져온 부분은 미국 중간선거 결과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제가 캡처를 해놓고 며칠이 지나서 이미 좀 지나버린 뉴스이기는 하네요. 이 블로그 목적은 시사성이 아니라 띄어쓰기, 맞춤법이니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국 하원 중간선거에서는 사실 민주당이 선전하면서 예상과는 달리 공화당이 박빙 승리하는 모습이 나타났습니다. 이와 관련한 뉴스에서 MBC가 상원 선거 결과가 아직 나오지 않은 가운데, 결과를 쉽게 예측할 수 없을 때 흔히들 사용하는 표현인 '안개속/안갯속'을 쓰면서 실수를 저질렀.. 2022. 11. 15.
[국립국어원][쉼표, 마침표][잠궈/잠가] 물은 이제 꼭 ‘잠가’ 주세요 물은 이제 꼭 ‘잠가’ 주세요 국립국어원에서 발행하는 [쉼표, 마침표]에 좋은 맞춤법 사례가 실렸네요. ‘물을 잠궈 주세요/잠가 주세요’인데요. 답은 뒤의 ‘잠가 주세요’가 맞습니다. ‘잠그다’가 기본형인데, 잠그다는 ‘잠가’ ‘잠그니’ ‘잠가서’와 같이 활용하기 때문입니다. [쉼표, 마침표]에 실린 내용을 여기 옮겨 봅니다. ‘물을 잠그다’, ‘대문을 잠그다’, ‘단추를 잠그다’ 등 ‘잠그다’는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면서도 틀리기 쉬운 우리말 중 하나일 겁니다. ‘여닫는 물건을 열지 못하도록 자물쇠를 채우거나 빗장을 걸거나 하다’, ‘물, 가스 따위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차단하다’ 등의 뜻을 가진 동사는 ‘잠구다’가 아닌 ‘잠그다’입니다. ‘잠구다’는 ‘잠그다’의 잘못이므로 ‘잠구다’의 활용형인 ‘잠구어/.. 2017. 3.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