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80

[받다/∨받다] 뉴스가 틀린 맞춤법(39)=JTBC 사건반장이 틀린 '조사받다/조사 받다', '선고받다/선고 받다'의 용법 뉴스가 틀린 맞춤법 서른아홉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JTBC '사건반장'이 틀린 '받다/∨받다'의 맞춤법 용례를 가지고 찾아왔습니다. '사건반장'은 제가 평소 즐겨서 보는 프로그램입니다. 오늘 가져온 사례는 얼마 전 강남에서 여성은 비키니를 입고 남성은 상의 탈의를 한 채로 공도를 질주한 두 유튜버에 관련한 내용입니다. 관련 사건으로 조사를 받으러 오면서 스포츠카를 타고 웨딩드레스를 입은 상태로 출석했다고 하네요. SNS와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소위 인플루언서라는 사람들 또는 관종(관심종)들이 늘고 있는데, 이들이 공공재인 뉴스를 이러한 쓸데없는(?) 노출이나 자기 PR로 사용하는 일들이 늘어나고 있어 문제인 것 같습니다. 또 하나는 정수근 선수의 다섯 번째 음주운전과 구속 소식입니다. 두 번째 정수근 .. 2022. 8. 24.
[전부다/전부 다][턱없다/택없다][잘알다/잘 알다] 뉴스가 틀린 맞춤법(38)='JTBC', 'SBS'가 틀린 '전부다/전부∨다', '턱없다/택없다', '잘알다/잘∨알다'의 용법 뉴스가 틀린 맞춤법 서른여덟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JTBC 뉴스가 틀린 '전부다/전부∨다', '턱없다/택없다', '잘알다/잘∨알다' 맞춤법 용례를 가지고 찾아왔습니다. 지난달에 1차로 올리고, 2차로 올리겠다고 했는데 많이 늦어졌네요. 다른 내용들을 먼저 올리고 하느라 늦었습니다. 오늘 가져온 틀린 맞춤법 사례는 JTBC 뉴스에서 가져왔는데요. 전 법무부장관이었던 박범계 의원과 현 법무부장관인 한동훈 장관이 검찰총장 없이 이뤄진 검찰의 인사, 그리고 법무부장관의 정부 고위직 인사 검증의 적법성과 관련해서 '설전'을 벌인 내용입니다. 정치적인 논쟁을 다루는 코너는 아니어서, 맞춤법 관련해서만 언급하겠습니다. 앞서 언급한 대로 관련 내용이 많이 나와서 두 차례에 걸쳐서 블로깅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젓번 블.. 2022. 8. 10.
[~지/∨지] 뉴스가 틀린 맞춤법(37)='JTBC 썰전 라이브'가 틀린 '~지/∨지'의 용법 [~지/∨지] '뉴스가 틀린 맞춤법' 서른일곱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JTBC '썰전 라이브'에서 틀린 맞춤법 사례를 가져왔습니다. 제가 평소 자주 보는 프로그램인데요. 강지영 아나운서와 이성대 기자, 두 진행자의 티키타카가 재미있는 시사뉴스 프로그램입니다. 오늘은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의 SNS 글에서 사례를 가져왔습니다. 야당인 민주당의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안철수 의원을 저격한 데 이어 안철수 의원이 이에 답한 내용인데요. 당대표의 윤리위원회 징계와 권성동 대표 권한대행의 윤석열 대통령과의 텔레그램 문자 촬영 문제, 그리고 결국엔 권한대행의 사퇴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거론 등등 숨 가쁘게 흘러가는 국민의힘의 사태를 두고 미국으로 휴가를 떠난 안철수 의원에 대해 우상호 의원이 "지금 휴.. 2022. 8. 3.
[문제없다/문제∨없다] 뉴스가 틀린 맞춤법(36)='MBC'가 틀린 '문제없다/문제 없다'의 용법 [문제없다/문제∨없다] '뉴스가 틀린 맞춤법' 서른여섯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MBC 뉴스에서 틀린 맞춤법 사례를 가져왔습니다. 정치적 의도는 없지만, 뉴스를 다루다 보니 정치 이야기가 많이 나옵니다. 오늘은 표절 논란이 일었던 영부인 김건희 여사의 국민대 박사학위 논문이 문제가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는 뉴스입니다. 김건희 여사의 국민대 박사학위 역시 그대로 유지됐습니다. 논문 초록(抄錄) 영문 번역에서의 '멤버 유지'를 'Member yuji'로 번역했다는 그 희대의 논문인데도, 결국 여러 표절 논란과 잡음 속에서도 어떠한 제재도 받지 않게 됐네요. 틀린 맞춤법 사례는 바로 뉴스 화면 왼쪽 상단의 뉴스 꼭지명을 적은 '문제 없다' 부분입니다.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옆에 뒀습니다. 눈치채셨겠지만 띄어쓰기 .. 2022. 8.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