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띄어쓰기66

[문제없다/문제∨없다] 뉴스가 틀린 맞춤법(36)='MBC'가 틀린 '문제없다/문제 없다'의 용법 [문제없다/문제∨없다] '뉴스가 틀린 맞춤법' 서른여섯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MBC 뉴스에서 틀린 맞춤법 사례를 가져왔습니다. 정치적 의도는 없지만, 뉴스를 다루다 보니 정치 이야기가 많이 나옵니다. 오늘은 표절 논란이 일었던 영부인 김건희 여사의 국민대 박사학위 논문이 문제가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는 뉴스입니다. 김건희 여사의 국민대 박사학위 역시 그대로 유지됐습니다. 논문 초록(抄錄) 영문 번역에서의 '멤버 유지'를 'Member yuji'로 번역했다는 그 희대의 논문인데도, 결국 여러 표절 논란과 잡음 속에서도 어떠한 제재도 받지 않게 됐네요. 틀린 맞춤법 사례는 바로 뉴스 화면 왼쪽 상단의 뉴스 꼭지명을 적은 '문제 없다' 부분입니다.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옆에 뒀습니다. 눈치채셨겠지만 띄어쓰기 .. 2022. 8. 3.
[∨데/~데][하나되다/하나 되다] 뉴스가 틀린 맞춤법(35)='MBC'가 틀린 '데/하나되다'의 용법 뉴스가 틀린 맞춤법 서른다섯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MBC 뉴스가 틀린 [∨데/~데][하나되다/하나 되다]의 맞춤법 용례입니다. 오늘은 MBC 뉴스에서 가져왔는데요. 세 개 뉴스를 가져왔습니다. 요즘 뜨거운 행정안전부 내 경찰국 신설과 관련된 뉴스. 그리고 이른바 '내부 총질' 이슈로, 윤석열 대통령과 권성동 국민의 힘 당대표 권한 대행이 주고받은 텔레그램 메시지 문제와 박순애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의 논문 중복 게재, 학술지 투고 금지 처분에 관한 뉴스입니다. 이곳은 정치적인 논쟁을 다루는 코너는 아니니, 맞춤법에 사례와 관련해서만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뉴스 아래에는 '1-1. 행정안전부 경찰국 신설'과 같이 각각의 뉴스에 번호를 매겼습니다. 뉴스는 흐름에 맞게 보시고, 문제가 되는 맞춤법 사례.. 2022. 7. 29.
[그동안/그 동안][~하/~ 하][그 중/그중] 뉴스가 틀린 맞춤법(34)='JTBC/SBS'가 틀린 '그동안/~상/~하/그중'의 용법 뉴스가 틀린 맞춤법 서른네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JTBC와 SBS 뉴스가 틀린 [그동안/그 동안][~상/~ 상][~하/~ 하][그 중/그중]의 맞춤법 용례를 가지고 찾아왔습니다. 최근에 TV 뉴스 맞춤법을 'TV·드라마·영화가 틀린 맞춤법'에서 몇 차례 다뤘는데요. 앞서 '뉴스가 틀린 맞춤법' 코너가 있었기 때문에, 여기에 합치는 게 맞다는 판단을 내렸습니다. 앞으로는 TV든 신문이든 잡지든 뉴스 관련 맞춤법, 띄어쓰기 용례는 '뉴스가 틀린 맞춤법'코너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TV·드라마·영화가 틀린 맞춤법' 코너는 드라마와 영화, 그리고 예능 등 뉴스를 제외한 맞춤법, 띄어쓰기 사례를 다룰 때 이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JTBC 뉴스와 SBS 뉴스에서 가져왔는데요. 전 법무부 장관이었던 박범계.. 2022. 7. 28.
[빈틈없다/빈틈 없다] TV·드라마·영화가 틀린 맞춤법(12)='TV조선 뉴스9'이 틀린 '빈틈없다/빈틈 없다'의 용법 'TV·드라마·영화가 틀린 맞춤법' 열두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TV조선의 메인 뉴스인 '뉴스9'이 틀린 맞춤법 사례를 가져왔습니다. 정치적 의도는 없지만, 뉴스를 다루다 보니 정치 이야기가 많이 나오네요. 오늘은 윤석열 정부의 인사와 관련한 윤석열 대통령의 코멘트에서 사례를 가져왔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정부 인사와 관련한 논란에 코멘트한 장면인데요. 화면에는 "전문성과 역량 면에서) 빈틈 없이 사람을 발탁했다고 자부하고 (인사는) 전(前) 정부에 비교할 바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와 같이 코멘트 처리가 됐습니다. 자, 맞춤법이 틀린 부분이 어디일까요? 네, '빈틈 없이'가 틀린 맞춤법입니다. '빈틈없다'(빈틈없이)라는 말은 형용사로, 합성어로서 사전에 등재돼 있기 때문에 하나의 단어로 붙여 씁니다... 2022. 7. 27.
반응형